제습기나 에어컨 전기세 걱정에 얼마나 틀어야 할지 모르시죠? 더운 여름철 자칫 잘못하면 곰팡이와의 전쟁을 치르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 글에선 제습기와 에어컨의 월 평균 전기 요금과 효율적인 사용방법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쾌적한 여름을 보내 실수 있으실 겁니다.
제습기 전기세
제습기는 창문형 에어컨과 작동 원리가 비슷하기 때문에 전력소모량이 많은 편에 속합니다. 전력사용량에 예민할 수 있는 가전이죠. 하루 8시간 사용한다고 가정했을때 제습기의 한달 평균 전기세는 5천원~7천원입니다.
제습기 한달 전기세 계산해보기
- 제품 소비전력
- 실제 사용시간
- 전기요금
예를 들어 250W 제습기를 하루 8시간 사용했다고 가정하면,
제습기 적정 용량
여러가지 경우가 있겠지만 이렇게 기억하세요.
- 10평대는 10L
- 20평대는 16~18L
- 그럼 제습기 용량에 따라 전기요금이 다를까요? 별 차이 없습니다.
에어컨 제습 전기세
에어컨은 제습기보다 소비전력이 훨씬 높습니다. 에어컨의 제습과 냉방은 큰 요금차이가 없습니다. 작동 원리는 똑같기 때문에 제습을 약냉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루 8시간 제습 기능을 사용한다고 가정했을때 에어컨의 한달 평균 전기세는 3만원~6만원입니다.
에어컨 전기세 계산해보기
- 에어컨 소비전력
- 실제 사용시간
- 에어컨 사용시간은 실내외 온도차, 사용 공간 면적, 설정 온도 등에 따라 다릅니다.
- 하루 8~12시간 사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한달 240~360시간 정도 사용하게 됩니다.
- 전기요금
예를 들어 1000W 에어컨을 하루 8시간, 한달 30일 사용했다고 가정하면,
제습기와 에어컨 동시사용
습도를 낮추는 최고의 방법은 무엇일까요? 바로 제습기와 에어컨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동일한 시간동안 틀어놓았을때 따로 사용하는것보다 훨씬 더 빠르게 습도를 낮춰주었습니다. 그렇다면 무조건 같이 틀어놓아야 할까요? 제습기와 에어컨을 동시에 사용하면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장점
-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
- 체감온도 하락 효과
- 에너지 절감 효과
단점
- 높은 전력 소비
- 실내외 온도차 증가
- 건조한 실내 환경
- 소음 증가
결론
전기세 걱정을 안 하셔도 되는 분이라면 에어컨만 종일 틀어놓으셔도 됩니다. 하지만 좀 더 합리적인 요금을 내면서 최고의 효율을 내고 싶으시다면 동시 사용을 추천드립니다. 또한 같은 온도라 할지라도 습도에 따라 체감온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제습이 잘 된다면 훨씬 더 시원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